1부

2부

 

  군대의 지나친 기밀주의에 대한 문제제기가 흥미로웠다.

 

  "신체 건강한 대한민국 남성이라면 누구나 군대에 다녀오므로, 군대의 문제는 군대 내의 문제가 아닌 시민사회의 문제이다. 따라서 시민사회의 감시와 개입의 정당성이 명백하다."

 

  굳이 시민사회의 개입 가능성을 끌고 들어오지 않더라도 외부자(미필자 및 여성)이 군대와 관련된 쟁점에 대해 발언하기가 현재로서는 몹시 어렵다. 지난 학기 윤리학 시간에 군대 얘기가 나왔을 때 피부로 느꼈다. 예비역 아닌 사람이 함부로 발언해서는 안될 것 같았던 그 갑갑한 공기를.


  한 가지 아쉬웠던 점은, 군대 문화가 개인에게 영향을 적게 미치도록 입대 전 입영 대상자에게 인권 교육을 시켜야 된다고 대안을 제시할 때 대학의 역할에 대해서만 이야기했다는 것이다. 고등학생의 대학 진학률이 85%에 육박한다고는 하나 "중졸자나 고졸자는?"이라는 의문이 들게 만드는 대안이었다.

 

  입영 대상자뿐만 아니라 의무교육 단계에서부터 인권 교육을 확대해야 한다. 인권 감수성이 개똥같은 사회라는 걸 가장 최근에는 성의 이해 폐강 운동하면서 느꼈고, 성범죄자 인권'만' 옹호한다고 인권위와 인권단체들이 욕을 바가지로 먹을 때에도 느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