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순(孫順, 혹은 孫舜)은 모량리 사람으로 아버지는 학산(鶴山)이다.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아내와 함께 남의 집에서 품을 팔아 곡식을 얻어 늙은 어머니를 봉양했다. 어머니의 이름은 운오(運烏)였다. 손순에게는 어린 아들이 있었는데 항상 어머니의 밥을 빼앗아 먹자, 손순은 민망하게 여겨 아내에게 말했다.

  "아이는 또 얻을 수 있지만 어머니는 다시 모실 수 없소. 그런데 아이가 어머니 밥을 빼앗아 먹으니 어마니의 굶주림이 얼마나 심하겠소. 아이를 땅에 묻어 어머니의 배를 채워 드리도록 해야겠소"

  그러고는 아이를 업고 취산(醉山) 북쪽 들로 가서 땅을 파자 이상한 돌종이 나왔다. 부부는 놀라고 괴이하게 여겨 재빨리 나무 위에 걸고 한 번 쳐 보니 소리가 은은하여 듣기에 좋았다. 아내가 말했다.

  "이상한 물건을 얻은 것은 아마도 아이의 복인 것 같으니 아이를 묻어서는 안 되겠지요."

  남편도 그렇게 여겨 아이를 종과 함께 업고는 집으로 돌아와 종을 들보에 매달고 쳤다. 그러자 종소리가 대궐까지 퍼져 흥덕왕이 듣고는 신하들에게 말했다.

  "서쪽 교외에서 이상한 종 소리가 들리는데 맑고 고운 것이 보통종과 비길 바가 아니니 빨리 가서 조사해 보라"

  왕의 사신이 그의 집을 조사하고 나서 그 사유를 모두 아뢰었다. 왕이 말했다.

  "옛날 곽거(郭巨)가 아들을 땅에 묻으려 하자 하늘이 금솥을 내려 주었는데, 지금 손순이 아이를 묻으려 하자 땅에서 돌종이 솟았으니, 곽거의 효도와 손순의 효도를 천지가 함께 본 것이다."

  따라서 집 한 채를 내려주고 해마다 벼 50섬을 주어 극진한 효성을 기렸다.

  손순은 옛 집을 내놓아 절을 삼아 홍효사(弘孝寺)라 하고 돌종을 두었는데, 진성왕 대에 후백제의 도적들이 이 마을에 들어오는 바람에 종은 없어지고 절만 남았다. 그 종을 얻은 자리를 완호평(完呼坪)이라 했는데, 지금은 잘못 전하여 지량평(枝良坪)이라 한다.


  - 삼국유사 손순매아조


  이 설화를 처음 읽었던 어릴 때에는 "아이는 또 얻을 수 있지만 어머니는 다시 모실 수 없다"는 부분을 아무 의심도 없이 받아들였던 것 같다. 이 설화가 효를 강조하면서 전해 내려온 것이라고는 하지만, 지금 생각하면 조금 끔찍한 부분이 있다. 아이를 죽이고 다른 아이를 또 낳는다고 해고, 그 아이는 말 그대로 '다른 아이'일 뿐이다. 아이를 인격체로 인정하지 않는구나, 하는 것이 첫 번째 감상이다.

  두 번째 감상은, 거기서 더 나아가 아이를 부모의 소유물로 여기고 있다는 것이다. 지금도 흔히 일어나는 일이다. 생활고를 비관해 일가족이 '동반자살'을 했다는 뉴스는 심심찮게 들을 수 있다. 그런데 이 '동반자살'이라는 어휘에는 사실 어폐가 있다. 죽은 자는 말이 없으니 알 수야 없지만, 그렇다 한들 이런 '동반자살' 사건에 아이의 의지가 개입해 있다고 생각하기는 힘들다. 동반자살이라는 말로 포장하지 말고 바로 말해야 한다. 아이를 살해한 부모가 자살한 것이라고.

  물론 부모는 자식의 존재에 책임을 져야 한다. 좀 거칠게 말해서, 태어나고 싶어서 태어난 사람은 없으니까. 일단 태어나게 했다면, 사회적 인간으로서 자기 구실을 하고 밥을 벌어먹을 때까지는 돌봐주는 게 맞다.(우리나라는 '자기 구실을 할 때'까지의 기간이 너무 긴 것 같긴 하지만 일단 그건 다른 문제) 그런데 태어나게 한 권리는 자식의 목숨을 거둘 권리, 작은 범위로는 자식의 삶을 설계할 권리까지 수반하지는 않는다. 누구도 다른 사람을 죽일 수 없다. 또한 모든 사람에게는 자신의 의지에 반하는 일을 하지 않을 권리가 있다. 부모도 마찬가지다.

  신앙 생활을 하지 않는 집안에서, 학비를 대 주고 먹여주고 키워줬다는 이유로 진로를 제멋대로 수정하려 들지 않는 부모님 밑에서 태어난 게 새삼 다행스럽다. 모태신앙은 폭력이고, 진학부터 사생활까지 모두 휘어잡으려 드는 것도 폭력이다.
,